💡 해외 결제 기능 ver.2의 서비스 정책이 정리된 문서입니다. (updated 2024년 2월 23일)
0. 애드온
스텝페이로 해외 결제를 원할 시 앱스토어에서 애드온으로 구입해야 합니다.
1. 기능 설정
1) PG 설정
‘PG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PG 설정 페이지에서 판매 지역을 ‘국내’, ‘해외’ 중 한 곳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판매 지역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PG사 목록이 드롭다운 목록으로 표기됩니다.
벤더는 선택된 PG사에서 지원하는 승인통화의 종류를 ‘전체보기’ 버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승인 통화란? 승인통화는 PG에서 결제가 가능한 통화를 말합니다.
예) A PG사의 승인 통화가 달러($)와 원화(₩)이면 고객이 A PG사를 통해 결제 가능한 통화의 종류가 달러와 원화가 됩니다.
승인 통화는 임의대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PG 연동관리 페이지에서 어떤 PG가 국내인 지 해외인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해외 판매 설정
해외 판매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설정 메뉴 내 대메뉴로 ‘해외 판매’ 메뉴가 생성되고 하위 메뉴로 ‘해외 판매 설정’ 메뉴가 생깁니다.
해외 판매 관련 설정은 해당 메뉴에서 모두 설정 가능합니다.
해외 판매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기존 설정의 ‘판매 설정’ 메뉴가 비활성화되고 관련 기능은 해외 판매 설정 메뉴에서 진행합니다.
해외 판매 설정에서 ‘기준 통화’, ‘판매 국가 및 세금 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기준 통화
‘기준 통화’는 1) 상품 기준 가격, 2) 우선 승인 통화 3) 매출 집계 역할을 하는 통화입니다.
통화별 관계도
☝️ 통화별 정의
표시 통화(=고객 통화) : 결제창에서 고객의 국적에 따라 표기되는 대략적인 가격, 고객의 통화. 승인 통화와 고객의 통화가 다를 때 결제창에 표기됨.
승인 통화 : PG에게 보낼 수 있는 통화
기준 통화 : 상품 기준 가격, 우선 승인 통화, 매출 집계에 기준이 되는 통화 ⇒ 추후 우선 승인 통화 기능을 따로 빼내고 매출 집계 기능은 사라질 예정
우선 승인 통화 : 여러 승인 통화 중 먼저 고려되는 승인 통화 ⇒ 고객의 통화가 승인 통화가 아닐 시 환율을 적용해 우선 승인 통화로 변환한 후 결제 진행.
Fallback 통화 : 벤더가 기준 통화를 입력 안 했을 때랑 해외 애드온 미구매자 시 적용되는 통화로 KRW가 설정됨
기준 통화로 설정 가능한 통화는 ‘원화’, ‘달러’, ‘엔화’입니다.
한번 기준 통화가 정해지면 다른 통화로 기준 통화를 바꿀 수 없습니다.
현재 버전에서는 상품 내 바뀐 기준 통화의 가격이 없을 경우 통화 표시만 바뀌고 액수는 그대로 바뀐 상태로 바뀝니다.
만약 상품 내 바뀐 기준 통화의 가격이 있다면 해당 가격으로 상품의 기준 가격이 설정됩니다.
Case Study
[CASE 1] 변경 전 상품 내 바뀐 기준 통화의 가격이 있는 경우
구분 | 기존 | 변경 |
기준 통화 | USD(달러) | KRW(원화) |
원화 가격 | KRW 10,000 | KRW 10,000 |
달러 가격 | USD 10.99 | USD 10.99 |
엔화 가격 | JPY 1,000 | JPY 1,000 |
[CASE 2] 변경 전 상품 내 바뀐 기준 통화의 가격이 없는 경우
구분 | 기존 | 변경 |
기준 통화 | USD(달러) | KRW(원화) |
원화 가격 | 없음(자동 환율 적용) | KRW 10.99 |
달러 가격 | USD 10.99 | USD 10.99 |
엔화 가격 | JPY 1,000 | JPY 1,000 |
(2) 판매 국가 및 세금 설정
‘판매 국가 및 세금 설정’ 섹션의 편집 버튼을 통해 판매 국가 선택과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총 248개 국가 또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판매 국가 설정에서 국가 선택의 기본값은 ‘South Korea’ 입니다.
국가마다 ‘세금 항목’과 ‘세율’, ‘가격 내 세금 포함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애드온 구매 후 처음으로 판매 국가를 설정하면 애드온 구매 전 만들어진 상품에 자동으로 판매 국가들이 반영됩니다.
이후에 판매 국가들을 수정했을 때는 자동으로 반영되지 않고 상품에서 직접 판매 국가를 설정해야 합니다.
2. 상품 생성
1) 상품 정보 설정
해외 판매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상품 정보에 ‘판매 국가’ 섹션이 생성됩니다.
판매 국가 섹션에 ‘편집’ 버튼을 눌러서 해당 상품을 판매할 국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국가들은 ‘해외 판매 설정’에서 판매할 나라로 선택된 나라들입니다.
상품 정보에서 판매 국가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세금 항목, 세율, 가격 내 세금 포함 여부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변경을 원할 시 ‘해외 판매 설정’ 메뉴에서 설정값을 변경해야 합니다.
2) 통화별 가격 설정
가격 설정 섹션에서 ‘통화별 가격 입력/확인’ 버튼을 눌러서 ‘상품의 기본 가격’, ‘첫 결제 할인’, ‘도입비’의 가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준 통화로 설정된 통화로 기준 가격을 설정합니다.
판매 국가들의 통화별로 가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설정되지 않은 통화는 기준 통화로 설정된 가격에 판매 시점 환율이 적용되어 고객에게 청구됩니다.
사용량, 계정 수 기반 플랜은 기준 통화로만 가격 설정이 가능합니다.
기준 통화 외 통화들은 청구 당시 환율이 적용된 금액으로 청구됩니다.
3) 환율
환율 데이터를 참고하는 사이트는 ‘exchangerate.com’와 ‘한국수출입은행’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 환율 데이터를 우선시하며 한국수출입은행에 없는 환율 데이터는 exchangerate.com의 환율을 사용합니다.
한국수출입은행 환율이 적용되는 국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AED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AUD 호주 달러
BHD 바레인 디나르
BND 브루나이 달러
CAD 캐나다 달러
CHF 스위스 프랑
CNH 위안화
DKK 덴마아크 크로네
EUR 유로
GBP 영국 파운드
HKD 홍콩 달러
IDR(100) 인도네시아 루피아
JPY(100) 일본 옌
KRW 한국 원
KWD 쿠웨이트 디나르
MYR 말레이지아 링기트
NOK 노르웨이 크로네
NZD 뉴질랜드 달러
SAR 사우디 리얄
SEK 스웨덴 크로나
SGD 싱가포르 달러
THB 태국 바트
USD 미국 달러
환율은 하루에 한 번 갱신됩니다.
3. 청구서 발송
청구서에서 표시되는 금액들은 승인 통화로 표기됩니다.
고객의 통화가 승인 통화가 아닐 경우 기준 통화로 금액들이 표시됩니다.
고객의 통화가 승인 통화가 아닐 경우 ‘이번 청구 금액’과 ‘이후 청구 금액’에서 승인 통화와 고객 통화를 모두 보여줍니다.
고객의 통화는 금액 앞에 ‘약’으로 표시됩니다.
청구서에서 ‘이번 청구 금액’과 ‘이후 청구 금액’에서 계산되는 금액은 벤더가 청구 당시 확정된 금액만 계산합니다.
옵션, 사용량, 배송비, 세금의 금액은 결제창에서 확정되므로 청구서 내 표기되는 금액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상품의 가격 구성에 옵션, 사용량, 배송비, 가격 내 세금 미포함이 있는 경우, 있는 항목들을 이번 청구 금액과 이후 청구 금액 아래 해당 항목들의 가격이 청구 가격 내 미포함되었다고 표시합니다.
구분 | 옵션이 포함된 상품을 청구서를 통해 결제 요청할 경우 | 옵션과 가격 내 세금 미포함이 포함된 상품을 청구서를 통해 결제 요청할 경우 |
이번 청구 금액 문구 표시 | 이번 청구 금액 (옵션 미포함) | 이번 청구 금액 (옵션, 세금 미포함) |
이후 청구 금액 문구 표시 | 이후 청구 금액 (옵션 미포함) | 이후 청구 금액 (옵션, 세금 미포함) |
상품의 가격 구성에 옵션, 사용량, 배송비, 가격 내 세금 미포함이 있는 경우 승인 통화 금액 앞에도 ‘약’으로 표기합니다.
예약 발송 및 결제 기한은 고객의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1) 국가 설정
해외 판매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청구서 발송 시 국가를 필수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국가가 선택되면 해당 국가의 통화와 현재 환율, 시간대가 표기됩니다.
국가를 다시 선택하면 기존 셋팅값이 초기화됩니다.
2) 상품 선택
국가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품이 선택되지 않습니다.
국가가 선택되면 선택된 국가에 판매되는 상품들만 선택 가능합니다.
3) 할인 적용
할인 금액의 기준이 되는 통화는 승인 통화입니다.
4. 결제창
다중 승인 통화와 통화별 가격 설정이 가능한 상황에서 결제창에 표기되는 통화는 아래 ‘[정책] 다중 승인통화&통화별 가격 설정 지원 시 결제창 표기’를 따라갑니다.
고객의 통화가 PG에서 지원 가능한 승인 통화가 아니면 ‘이번 결제 금액’과 ‘이후 결제 금액’에 현지 통화(표시 통화) 기준으로 대략 얼마인 지 표기되고 그 아래 승인 통화로 얼마인 지 표기됩니다.
[정책] 다중 승인통화&통화별 가격 설정 지원 시 결제창 표기 예시환율은 주문이 생성된 시점의 환율을 적용합니다.
5. 데이터 표기
포탈에 표기되는 절사 표기법은 아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1) 전체 주문 내역
결제 금액은 승인 통화 기준으로 표기됩니다.
전체 주문을 종합해서 보여주는 곳은 실시간 환율을 적용하여 기준 통화로 보여줍니다.
해외 결제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국가 필드가 생성됩니다.
해외 판매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주문 상세 정보에서 ‘국가’, ‘PG 승인 통화’ 항목이 생성됩니다.
고객의 통화가 승인 통화가 아닌 경우 주문 상세 내 결정 정보에서 총 결제 금액에만 표시 통화로 표시해줍니다.
주문에 표기되는 항목들과 금액은 확정된 것들만 보여줍니다.
환율이 적용되는 경우 매 갱신 때마다 당시의 환율을 적용하여 고객에게 청구됩니다.
2) 정기구독
구독의 금액은 승인 통화로 표기됩니다.
전체 구독을 종합해서 보여주는 곳은 실시간 환율을 적용하여 기준 통화로 보여줍니다.
해외 결제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국가 필드가 생성됩니다.
해외 판매 애드온이 활성화되면 구독 상세 정보에서 ‘국가’, ‘PG 승인 통화’ 항목이 생성됩니다.
구독 상세에서 평균 구독 금액과 상품 금액은 승인 통화로 보여줍니다.
구독에 표기되는 항목들과 금액은 확정된 것들만 보여줍니다.
환율이 적용되는 경우 매 갱신 때마다 당시의 환율을 적용하여 고객에게 청구합니다.
3) 전체 상품 내역
상품의 가격은 기준 통화 금액으로 표기됩니다.
금액은 확정된 항목만 계산하여 표기됩니다.
4) 대시보드
기준 통화 기준으로 총 예상 매출액이 표기됩니다.
6. PG 해외결제 정책
1) KSnet
정기결제는 첫 회차 인증 후 비인증으로 진행됩니다.
정기결제가 가능한 상품 금액은 가맹점별로 다르며 대략 20만 원 선입니다.
단건결제는 인증 결제로 진행됩니다.
2) Stripe
Stripe 정책 상 인증 결제만 지원됩니다.
7. 마이스토어
해외결제 관련해서 마이스토어는 달러 매입 심사를 위한 용도만 사용됩니다.